티스토리 뷰
아는 동생이 요즘 집을 알아보고 있어요. 지금 월세 사는데 조금 일터에서 멀더라도 전세로 살았으면 하더라구요. 그래서 같이 대출상품을 알아보다가 청년 전세자금대출 이라는 대출상품이 있다고 해서 그것에 대해서 정리를 해볼까 합니다.
[goldk1]
청년전세자금대출은 총 13개 은행에서 판매를 하는데요. 이름은 조금씩 다른데 청년 전세론(하나은행), 청년전세자금대출(신한은행), 우리 청년맞춤형 전세대출(우리은행) 이 세가지에 대해서 알아볼게요.
금리를 알아보기 전에, 청년전세자금대출을 받을 수 있는 조건부터 알아봐야겠죠. 조건은 모든 은행 동일해요.
우선 1) 청년(만 19세~만 34세이하) 의 무주택 세대주여야 해요. 나중에 갱신의 경우 만 35세 이상도 한번은 가능하지만, 처음 대출받을 당시에는 만 34세 이하여야 한답니다. 그리고 2) 임차보증금의 5% 이상을 지급 <- 이건 계약금 걸고 온 사람이라는 의미 인 거 같고요. 3) 부부합산 연소득 7천만원 이하이고, 4) 보증금은 5억원 이하의 전세(수도권외 3억원)인 경우에만 전세자금을 대출할 수 있어요.
대출 대상 주택은 주택 또는 주거용 오피스텔이어야 하는데요. 오피스텔의 경우 주택외 건축물이라서 저렇게 쓰여진 것 같아요. 신청시기는 입주일 및 전입일 중 빠른날로부터 3개월 이내라고 하네요. 요즘에 임차인 대항력때문에 전날 전입신고를 해두는 곳들이 있어서 그런게 아닐가 싶습니다.
대출한도는 임차보증금의 90% 범위내인데요. 최대 7천만원까지 가능하구요. 대출기간은 6개월이상 36개월 이하, 만기 일시 상환입니다. 대출 연장도 36개월 이내로 가능하다고하네요.
[goldk2]
그럼 제일 중요한 세군데 은행별 금리 비교를 한번 해볼게요. 원래 정확한 건 창구에서 상담을 받을 때 나와요. 왜냐하면 1)대출금액 2)대출 기간 3)신용등급 점수 이 세가지에 따라서 많이 달라지거든요. 신용등급의 경우 나이스를 포함한 두군데에서 진행을 하는데요. 만약 신용평가기관별로 조금씩 신용등급이 다르다면 은행에서 어떤 곳을 참고로 하느냐에 따라서 조금씩 대출 이자가 달라진답니다. 그래도 참고가 없는 것보다는 나으니까, 한번 보시죠.
우선 우리은행이에요. 우리은행은 기준금리 + 0.74 해서 하는데요. 8월 26일 기준으로 2.42%네요. 기준금리가 신규 cofix랍니다. 6개월 변동으로 들어가니까 6개월에 한번씩 기준금리가 바뀔 듯 합니다. 가산금리는 대출금액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는데요. 저 가산금리가 대출금 얼마를 기준으로 했는지는 나와있지 않습니다.
두번째는 KEB하나은행이에요. 청년전세론인데, 우리은행과 비슷하게 6개월변동 신규 cofix + 가산금리 1.040%라고 하네요. 홈페이지상 기준금리는 2019년 5월 27일 기준이니까, 조금더 최근인 우리은행의 신규 cofix를 기준으로 하면 대출금리는 1.68+1.04 = 2.72% 정도 됩니다. 대신 이 가산금리는 내부신용 4등급에 대출기간 2년 대출금액 5천만원 기준이라고 하네요. 대출금액이 적고 신용등급이 올라가면 이보다는 가산금리가 좀더 적어지겠죠?
마지막 신한 청년전세대출인데요. 여기는 기준금리가 6개월 금융채입니다. 기본금리는 8.26 기준으로 1.33이고 가산금리는 1.07이에요. 그래서 최저금리가 2.4%인데요. 최저금리인거 보니 신용등급이나 대출금액이 많지 않은 경우에 저렇게 되는 것 같습니다. 여기서 주목하실건 별도 우대금리가 없다는 점.입니다.
이상 청년 전세자금대출 조건 및 은행별 금리를 비교해봤어요. 큰 틀은 비슷하구요. 금융채나 신규 cofix를 기준으로 금리가 결정되기 때문에 8월 26일 기준으로 청년 전세자금대출의 금리는 2.4~2.7%대부터 시작할 것 같네요.
[goldk3]
'세금 재테크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픽스(cofix) 금리란? 잔애 및 신규 코픽스(cofix) 금리 차이점 총정리 (0) | 2019.08.30 |
---|---|
금융채 금리 조회 방법 정리 (0) | 2019.08.26 |
원천징수영수증 인터넷발급 및 pdf로 저장하는 방법 정리 (0) | 2019.08.08 |
청약통장 1순위 조건 정리 (0) | 2019.07.29 |
전세 월세 계산법 정리 (0) | 2019.07.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