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주식의 기업정보를 보다보면 PER, PBR이라는 말이있어요. 

이게 중요한 개념이라는 말이 있어서 한번 정리해보았습니다.

 

[goldk1]

 

1. PER

PER은 Price earning ratio로 주가수익비율을 말해요. 주당시가를 주당순이익으로 나눈 것이라고 하네요.

주당순이익(EPS)하니까 느낌이 이상한데 이때 순이익은 당기순이익으로 그 해 그 회사가 올린 수익을 말해요. 

그걸 주식수로 나눈거죠. 주당순이익이 높을 수록 회사의 경영실적이 양호하다는 뜻을 말하구요.

 

그리고 이 주당시가를 다시 아까 구한 주당순이익으로 나누면 그게 바로 PER이 된답니다.

주당 순이익이 높은데 주가가 그에 못미치면 그만큼 투자하기 매력적이라는 말이 됩니다.

 

[goldk2]

 

2. PBR

PBR은 Price Book-value ratio로, 주가 순 자산비율을 말해요. 주당시가를 1주당 순자산과 비교한 수치이죠. 

순자산이라는 건 대차대조표에서 총자본또는 자산에서 부채(유동부채+고정부채)를 뺀 돈을 말해요.  이걸 주식수로 나누면 이게 바로 주당 순 자산가치(BPS)가 되는 것이죠. PBR은 다시 주당시가를 BPS로 나눠서 구해요

 

PBR은 재무내용면에서 주가를 판단하는 지표라고 해요. 이 비율이 낮을수록 해당기업의 자산가치가 증시에서 저평가 되고 있다는 뜻이라고 하네요. PBR이 1 미만이면 주가가 장부상 순자산의 가치에도 못미친다는 뜻이라고 하네요.

또한, PBR은 주가를 최근 결산 재무제표에 나타난 주당순자산으로 나눠서 배수로 표시하기도 한답니다. 

 

오늘은 PER과 PBR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PER은 상대적인 개념으로 몇개의 기업을 비교할때도 쓴다고 하니, 이것도 알아두면 좋을 것 같습니다. 

 

[goldk3]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