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지적도라는 건 땅의 모양 및 용도를 적어둔 서류들을 말합니다. 땅을 구획화해놓고 거기에 붙여둔 번호를 지번이라고 하는데, 요 지번하고 땅의 용도(지목) 및 땅의 모양 요 세가지가 있어요
[goldk1]
지적도는 나라의 공익적 목적을 위해서 만들어진 토지공부구요.(일명 땅의 주민등록부) 우리는 그 등본을 발급받아서 아 이 땅과 인접된 부분들이 이렇게 생겼구나~ 하고 알 수 있습니다. 지적도는 인터넷 정부24에서 무료로 발급받을 수 있어요.
우선 정부24의 자주 찾는 서비스에서 지적도(임야도) 발급 및 열람을 클릭해주시구요.
그리고 신청하기를 눌러줍니다.
로그인을 합니다. 비회원도 가능해요. 주민등록번호 및 핸드폰번호 정도만 넣음 되더라구요.
공인인증서 없어도 됩니다.
지적도는 땅, 임야도는 산이에요. 우리는 지적도니까 이상태로 진행합니다.
보시면 지적도를 보려는 땅의 지번주소를 넣고, 민원신청하기만 눌러주면 됩니다.
이게 무조건 지번주소라서 좀 불편하긴 해요 ;ㅁ;
우리가 도로명주소에 익숙해서 지번주소를 잘 모르잖아요.
그럴때는 juso.go.kr <- 여기에 들어가서 검색해보면 됩니다.
위의 주소를 브라우저 주소창에 넣고 들어가서, 검색창에 도로명 주소를 넣어주세요.
그리고 나오는 지번주소를 기억했다가 위에 넣어주시면 됩니다.
제가 검색한 주소는 아니고 다른 주소에요~
민원을 신청하고나서 문서출력을 눌러주세요.
그럼 새창이 뜨거든요.
그리고 우리가 원하는 지적도가 딱 나오죠. 지번+지목의 부호가 나오는데요.
제가 검색한 것은 건물의 대지기 때문에 "대"라고 나와요.
그리고 대략적인 땅 모양은 저런데,
1:600의 축적이기때문에 실제 면적을 600배만큼 줄였다고 생각하면 된다고 합니다.
이상 지적도 인터넷 발급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어요.
[goldk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