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완납증명서랑 납부증명서는 조금 다른데요. 완납증명서는 세금을 체납없이 다 냈다는 말이고, 납부증명서는 과세된 세금을 납부했다는 것을 증명해주는 서류에요. 그래서 언제 얼마만큼의 세금이 얼마나 과세되고, 그걸 납부했는지 여부를 알고 싶으면 납부증명서를 떼면 됩니다.

 

[goldk1]

 

오늘은 재산세 납부증명서 발급방법에 대해서 알아볼게요. 재산세 납부증명서를 발급받으려면 지방세 세목별 과세증명서를 발급받으면 됩니다. 재산세는 지방세의 한 부분이거든요~ 

 

저는 정부24에서 발급받았습니다. 자주찾는 서비스에서 지방세세목별과세증명을 눌러줍니다.

 

본인만 되고, 대리인은 인터넷으로 재산세 납부증명서 신청이 불가하다고 나와있어요.

대신 인터넷으로 신청 및 발급하는 경우에는 무료로 이용가능합니다.

 

저는 공인인증서로 로그인 해줬습니다.

비회원도 가능하지만, 저는 회원이니까!

그리고 나면 신청서가 뜨는데요. 우선 과세물건지 주소선택에 검색을 눌러주시구요.

주소를 넣고 검색을 넣어주세요.

그리고 행정처리기관까지 클릭해줍니다.

 

 

그 다음에 민원신청하기를 눌러요. 

신청전에 과세년도 한번 잘 선정했는지 봐줍니다.

디폴트는 2년인 듯 합니다. 

아, 사용목적도 꼭 기입해주시구요.

 

그리고 나서야 세목을 선택할 수 있어요.

우리는 재산세 납부증명서 발급 받으려는 것이니까,

재산세만 선택해줍니다. 

 

그리고나서 민원신청하기를 눌러줍니다. 

그러면 얼마 안있어서 처리결과가 나올건데요.

처리결과에서 출력을 눌러줍니다.

 

그러면 대충 이런 문서가 나와요.

얼마가 과세되었고, 그리고 납부했는지 여부가 옆에 나오죠:)

이상 재산세 납부증명서 발급 인터넷으로 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간단하니까 한번 꼭 해보세요

 

[goldk3]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