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얼마전에 아이들 컴퓨터를 사주었습니다. 저는 맥을 쓰지만 애들을 다짜고짜 맥을 사주기가 좀 그렇더라구요.. 대부분 윈도우 기반으로 돌아가니까요. 대부분 컴퓨터를 사면서 OS도 함께 사서 얹는 경우도 있지만 저는 따로 사길 원했습니다.
[goldk1]
윈도우7도 2020년 1월 14일에 지원을 종료한다고 해서 이왕 사려면 윈도우10 정품이 좋겠다 싶어서 찾아보았는데 가격이 천차만별이라 놀랐어요.
게다가 위에서 보시는 것과 같이 fpp모드에 DSP모드에 뭐 모드도 많더라구요. 그래서 이것도 한번 찾아보았습니다.
윈도우즈 라이센스는 GGWA, COEM(DSP), FPP, ESD 이렇게 있더라구요. 조립 PC살때 얹어서 오는 건 대부분 COEM또는 DSP모드에요. 이건 그 PC에 한정해서 라이센스가 적용되기 때문에 그 PC를 더이상 쓰지 않는다고 해도 다른 PC에 설치할 수가 없죠.
[goldk2]
PC를 옮겨다니면서 쓸 수 있는건 FPP 패키지랍니다. 이건 USB로 오는데요. 이 컴에서 안쓰는 경우 다른 컴에서 사용할 수가 있답니다. 그리고 ESD는 공홈에서 따로 시리얼키만 받는 경우에요. OS 설치는 마이크로 소프트 공홈에서 다운로드 받아서 하든, 따로 USB로 하든지 간에 하고, 그 다음에 시리얼키만 다운로드 받아서 인증을 해주면 되는거죠.
가장 정확한 윈도우10 정품 가격은 마이크로 소프트 공홈에서 판매하는 가격이라고 생각해서 찾아봤어요. 한국쪽에서 판매되는 금액은 윈도우 10 홈 에디션의 경우는 208000원이고, 학생이나 교직원의 경우는 166400원에 파네요. 그런데 정식 컴퓨존 같은 리셀러의 경우중에는 그냥 16만원에 팔기도 하더라구요. 그리고 예전에 베네수엘라 사태도 보면 국가마다 조금 다르게 파는 느낌입니다.
윈도우10 프로는 가격이 조금 더 셉니다. 324600원. 제 기억에 홈 에디션과 프로는 몇가지 차이가 있지만 가정에서 오피스 프로그램 깔고 동영상 보는 경우라면 홈 에디션도 괜찮을 것 같아요.:) 이상 윈도우10 정품 가격 정리였습니다.
[goldk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