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뭐 별건 아니고, 아파트 알아보다보면 시세조회 많이 해보잖아요. 그런데 주담대에서 제일 중요한건 KB시세나 한국감정원 시세랍니다. 대부분 KB시세가 기준이고 한국감정원 시세는 보조적으로 쓰는데요.
[goldk1]
오늘은 이 두가지 시세를 한번에 볼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둘이 별로 큰 차이는 없긴 한데, 그래도 궁금하니까.
다만 단점은 100세대 이상 되는 가구에 한해서만 제공을 하더라구요. -_-;;
https://www.hf.go.kr/hf/sub01/sub02_02_01.do
링크는 위와 같습니다. 한국주택금융공사의 예상대출 조회입니다.
중간에 슥 내리다 보시면 주택가격이라는 게 보일 거에요.
여기서 시세검색을 눌러주세요.
그럼 두가지가 나오는데요.
KB시세가 1번이고, 없으면 감정원 시세로 합니다.
일단 주소를 넣고 검색을 누르면 위처럼 아파트들이 떠요.
그리고 원하는 걸 클릭해봅니다.
저는 구로동의 신도림 태영타운을 검색해봤어요.
대략 시세가 저렇게 되네요.
그 다음엔 감정원도 똑같은 방법으로 합니다.
주소넣고, 검색 눌러서 아파트 클릭해주고.
보시면 KB시세랑 몇백~천만원 가량 낮게 나오는 게 보여요.
그렇게 넣으면 상한가랑 하한가를 산술평균한 금액이 시세로 뜹니다 ㅎㅎ
실제로 시세 결정할때는 층까지 다 껴서 디테일하게 보긴 하더라구요.
오늘은 아파트 시세 조회를 간단하게 해보았습니다. KB시세보다 감정원 시세가 조금 낮게 나온 다는 것도 알게 되었네요.
[goldk3]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