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뭐 별건 아니고, 아파트 알아보다보면 시세조회 많이 해보잖아요. 그런데 주담대에서 제일 중요한건 KB시세나 한국감정원 시세랍니다. 대부분 KB시세가 기준이고 한국감정원 시세는 보조적으로 쓰는데요.

 

[goldk1]

 

오늘은 이 두가지 시세를 한번에 볼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둘이 별로 큰 차이는 없긴 한데, 그래도 궁금하니까. 

다만 단점은 100세대 이상 되는 가구에 한해서만 제공을 하더라구요. -_-;;

 

https://www.hf.go.kr/hf/sub01/sub02_02_01.do

 

링크는 위와 같습니다. 한국주택금융공사의 예상대출 조회입니다.

 

중간에 슥 내리다 보시면 주택가격이라는 게 보일 거에요.

여기서 시세검색을 눌러주세요.

 

그럼 두가지가 나오는데요. 

KB시세가 1번이고, 없으면 감정원 시세로 합니다.

일단 주소를 넣고 검색을 누르면 위처럼 아파트들이 떠요. 

그리고 원하는 걸 클릭해봅니다.

저는 구로동의 신도림 태영타운을 검색해봤어요.

 

대략 시세가 저렇게 되네요. 

 

그 다음엔 감정원도 똑같은 방법으로 합니다.

주소넣고, 검색 눌러서 아파트 클릭해주고. 

보시면 KB시세랑 몇백~천만원 가량 낮게 나오는 게 보여요.

 

그렇게 넣으면 상한가랑 하한가를 산술평균한 금액이 시세로 뜹니다 ㅎㅎ 

실제로 시세 결정할때는 층까지 다 껴서 디테일하게 보긴 하더라구요.

 

오늘은 아파트 시세 조회를 간단하게 해보았습니다. KB시세보다 감정원 시세가 조금 낮게 나온 다는 것도 알게 되었네요.

 

[goldk3]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