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집을 사기 위해 받는 대출을 주택담보대출이라고 하는데요. 1,2천만원 정도 대출하는게 아니라 몇억대로 대출을 받다보니 조금이라도 저렴하게 대출받을 수 있는 곳을 찾아 헤매입니다.

 

[goldk1]

 

오늘 알아볼 것도 아낌e-보금자리론이라고 그런 취지로 소개해봐요. 대출한도, 대출자격 및 금리 등등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아낌e- 보금자리론이라는 건 대출거래약정 및 근저당권설정등기를 전자적으로 처리해서 주택금융공사 홈페이지를 통해 신청하는 보금자리론에 비해 금리가 0.1%정도 저렴하다고 합니다. 

 

그리고 아낌e-보금자리론은 하나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국민은행, 그리고 부산은행에서 취급한다고 합니다.

 

[goldk2]

 

그럼 본격적으로 한번 알아볼게요. 

 

먼저 아낌e-보금자리론의 대출대상입니다. 부부합산 소득이 무자녀의 경우는 7천만원 이하고, 자녀가 1씩 늘어날때마다 1천만원씩 그 한도가 올라갑니다. 대신 맞벌이 신혼가구의 경우에는 자녀 1명 이하라도 8천 5백만원 이하의 소득인 경우에 대출 신청이 가능합니다. 

 

대출 가능한 건 "주택"이어야 해요. 상가는 안되구요. 토지도 안됩니다. 대신 주택의 평가액이 6억원을 넘으면 안됩니다. 

 

대출한도는 최대 3억원이고 3명이상의 자녀를 가진 다자녀는 최대 4억원까지 대출이 가능한데,

주택가겨의 최대 70% 이내라고 합니다. 여기서 DTI등을 따져봤을 때 LTV 한도는 달라질 수 있다고 해요. 

 

대출기간은 최장 30년이구요. 상환방법은 원금/원리금/체증식 분할방법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다음은 아낌e-보금자리론의 금리입니다. 대출금리는 매달 달라지는데요. 2020년 4월의 경우에는 2.2~2.45%에요.

이게 기본이구요. 여기에 우대금리를 빼주시면 됩니다.

 

우대금리는 안심주머니 앱을 깔고 금리할인 쿠폰을 받으면 0.02% 받을 수 있구요.

여기서 가족사랑 우대금리가 0.1%, 신혼가구는 0.2%, 다자녀가구, 한부모가구, 장애인가구, 다문화가구의 경우는 0.4% 받을 수 있습니다.

 

단 이 사회적배려층 우대금리는 주택가격이 6억이하, 부부합산 연소득이 6천만원 이하(신혼가구는 연소득 7천만원 이하)를 만족해야한다고 하네요. 그리고 사회적배려층의 경우에는 각각의 경우에 해당하는 서류를 내야한다고 합니다. 

 

이것 말고도 공통적으로 제출해야하는 서류는 위와 같아요. 근로소득자는 재직증명서랑 소득금액증명원, 사업소득자는 사업자등록증과 소득금액증명원, 연금소득자는 연금수급권자 확인서, 추정소득자는 건강보험료 납부확인서 등 입니다.

 

마지막으로 인지세를 내야하죠. 대출금액이 대충 5천~3억까지 이므로, 최고 7만5천원을 부담하셔야 합니다. 

이것 말고도 국민주택채권비용도 있을텐데 그건 그날그날 다르기 때문에.. 확실히 얼마라고 이야기하기는 어렵습니다.

 

이상 아낌 e- 보금자리론 금리, 대출한도, 자격 조건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약간이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

 

[goldk3]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